일반 공지
앱을 서비스하다 보면, 특정 국가에는 앱을 서비스하지 않거나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기 위해 안내 팝업을 노출해야 하는 상황이 있습니다. 이와 같이, Hive SDK는 다음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공지 팝업을 제공합니다.
팝업 | 설명 |
---|---|
국가 제한 | IP 주소 기반으로 특정 국가로부터 앱 이용을 차단 |
업데이트 | 특정 버전의 게임 이용을 차단하고 업데이트를 위한 링크를 제공 |
일반 공지 | 강제가 아닌 게임 업데이트에 대한 안내, 전체 유저에게 고지해야 할 중요한 공지사항의 노출을 위해 이용 |
노출 방법¶
- Hive 콘솔에 원하는 공지 팝업을 등록합니다.
- SDK 초기화를 실행하면 등록한 팝업이 노출됩니다.
팝업 UI¶
국가 제한, 업데이트, 일반 공지 팝업은 Hive SDK에서 제공하는 기본 UI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출 순서¶
공지 팝업들은 동시에 노출되지 않습니다. 만약 모든 공지 팝업(국가 제한, 업데이트, 일반 공지, 서버 점검)을 콘솔에 등록했다면, 공지 팝업을 노출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국가 제한 팝업
- 역할: 특정 국가에서 접속한 경우 접속을 차단 안내
- 다음 단계: 앱을 종료하도록 유도
- 업데이트 팝업
- 역할: (국가 제한에 걸리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구버전 앱 사용 안내
- 다음 단계: 앱을 종료하고 사용자를 앱 마켓으로 이동시켜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도록 유도
- 일반 공지 팝업
- 역할: (국가 제한에 걸리지 않고, 앱이 최신 버전이라면) 앱 업데이트에 대한 안내와 고지할 공지사항 노출
- 서버 점검 팝업
- 역할: (국가 제한에 걸리지 않고, 앱이 최신 버전이며, 일반 공지를 안내한 후) 서버 점검을 안내
- 다음 단계: 앱을 종료하도록 유도
예시 1: 사용자가 접속 제한 국가에서 접속 시¶
접속이 제한된 국가에서 사용자가 접속했다면, 국가 제한 팝업만을 노출하고 게임을 종료합니다. 국가 제한 팝업을 콘솔에 등록하지 않았다면, 국가 제한 팝업은 노출하지 않고 아래 예시 2와 같이 업데이트 팝업 노출 단계로 넘어갑니다.
예시 2: 사용자가 접속 허용 국가에서 접속 시¶
접속을 허용한 국가에서 사용자가 접속했다면, 국가 제한 팝업은 노출하지 않습니다. 이후 앱이 최신 버전인지 아닌지 여부에 따라 노출하는 팝업이 아래와 같이 달라집니다.
앱이 구 버전인 경우 (앱을 업데이트하지 않은 경우)¶
업데이트 팝업을 노출합니다. 업데이트 팝업은 게임을 종료 후 마켓에서 게임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도록 유도합니다.
앱이 최신 버전인 경우 (앱을 업데이트한 경우)¶
업데이트 팝업을 노출하지 않고 일반 공지 팝업을 노출합니다. 만약 서버 점검중인 경우 서버 점검 팝업을 노출합니다.
업데이트 팝업: 인앱 업데이트¶
인앱 업데이트는 업데이트 팝업 설정에 따라 앱을 종료하지 않고 백그라운드에서 앱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인앱 업데이트는 다음 조건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마켓: Google Play Store
- 지원 기기: Android 모바일, Android 태블릿, ChromeOS 디바이스
- 앱 파일 형식: AAB(Android App Bundle)와 APK를 모두 지원
- 단, APK 확장 파일(.obb파일)은 지원하지 않음
- AAB는 최대 200MB, APK는 최대 150MB 용량을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