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관
약관은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사용자의 권리, 의무, 책임 사항을 명시하는 문서입니다. 프로비저닝은 사용자들이 앱 시작 시 동의 또는 거절해야 하는 약관을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프로비저닝에서 약관과 관련해 제공하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약관 다시보기
- 약관 동의 내역 삭제하기
- COPPA 대응
- GDPR 대응
- 법정 대리인 동의 여부 확인
약관 다시보기¶
약관은 서비스 제공자와 사용자 간의 권리, 의무, 책임 사항을 명시하는 문서입니다.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때 게임 사용자에게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을 고지하거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Info
약관 등록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콘솔 가이드 > 프로비저닝 > 약관을 참고하세요.
Hive SDK는 초기화 시 유저의 접속 IP로 판단한 국가 및 퍼블리싱사에 맞는 적절한 약관을 노출시키지만, 이후 게임에서는 국가별로 어떤 약관에 대한 동의를 받는지 여부와 상관 없이 모든 유저가 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등을 볼 수 있는 기능(예시: 약관 다시보기 버튼)을 제공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앱에서 해당 링크를 눌렀을 때 AuthV4.showTerms()
를 실행하도록 구현하면, Hive SDK는 Hive 콘솔에 등록한 조건에 따라 노출할 약관을 자동으로 선택해 노출합니다. 약관을 표기하는 규정은 퍼블리싱 회사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약관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AuthV4 클래스의 showTerms()
메서드를 호출하세요. 다음은 이용약관을 노출하는 예제 코드입니다.
약관 동의 내역 삭제하기¶
기기 기반 약관을 사용한다면, 사용자가 게임을 최초 실행 시 게임 약관에 한 번 동의한 후에는, 약관에 동의한 내역이 사용자 기기에 남습니다. 아래 AuthV4.resetAgreement
메서드는 이 내역을 삭제합니다.
기기 기반 약관 사용 시, 사용자가 계정 삭제 후 게임을 재실행하면 삭제한 계정의 약관 동의 정보가 기기에 남아 있어 약관 동의 팝업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계정 삭제 후 앱을 재실행할 때(=Hive SDK 초기화 시) 약관 동의 팝업을 다시 노출하려면, AuthV4.resetAgreement
를 먼저 호출해 이전에 저장된 약관 동의 정보를 삭제한 후에 AuthV4.setup
을 호출해 Hive SDK 초기화를 진행해야 합니다. 다시 말해, Hive SDK 초기화를 실행하기 전에 약관 동의 내역을 먼저 삭제해야 합니다.
Note
계정 기반 약관은 약관 동의 내역 삭제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기기 기반 약관 또는 계정 기반 약관을 선택하려면 기본 설정에서 agreementDetermineBase
를 수정해야 합니다.
COPPA 대응¶
미국(미국령)에 앱을 출시할 때 13세 미만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면 COPPA(Children's Online Privacy Protection Act)에 대응해야 합니다. COPPA는 13세 미만 어린이의 개인 정보 보호를 목적으로 발효된 미국 법률입니다. 사용자가 13세 미만 어린이인 경우, 앱은 아래 예시를 포함해 COPPA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 인증 수단은 게스트 로그인만 제공
- 일부 사용자 추적 광고 노출 불가
- 푸시 노티피케이션 발송 불가
- 앱 내 채팅 금지
- 앱 고객센터에 문의 내용 저장 불가
- 특정 조건에서 개인 정보 수집 불가
Warning
COPPA 대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COPPA를 참고하세요. COPPA에 대응하려면 반드시 COPPA에서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확인해야 합니다.
13세 미만 여부 조회¶
Hive SDK는 COPPA 규정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자가 13세 미만 여부인지 조회하는 AuthV4.getAgeGateU13()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이 메서드는 반드시 앱 사용자가 약관 팝업에서 13세 미만인지 아닌지 여부를 선택한 후에 호출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13세 미만일 경우 메서드가 반환하는 값은 true
입니다. 이 값을 사용해 개발사는 게스트 로그인만 제공, 일부 광고 미노출 등 COPPA 요건에 대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이 값이 true
라면 개발사는 게스트 로그인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Google 계정, Facebook 계정과 같이 다른 IdP 계정과의 연동을 지원해서는 안 되며, 계정 연동 버튼 등을 비활성화하거나 아예 UI에서 삭제해야 합니다.
또 다른 예로, 만약 개발사가 광고 노출을 위해 Hive Adiz 또는 Hive Adkit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개발사는 인앱 광고 노출 시 COPPA 요건에 맞는 광고만을 사용자에게 노출하도록 직접 코드를 구현해야 합니다.
ageGateU13
값이 true
일 때 Hive SDK 내부적으로 달라지는 동작은 아래와 같습니다.
플랫폼 | 설명 |
---|---|
Android | * 종료 팝업 노출 시 더 많은 게임(More Games) 버튼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 리모트 푸시가 수신되지 않으며, 푸시 API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
iOS | * AuthV4.setup() 과 Auth.initialize() 호출 시 푸시 권한 동의 여부를 묻는 팝업이 노출되지 않습니다.* 푸시 API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
API Reference: AuthV4.getAgeGateU13
API Reference: AuthV4 ::getAgeGateU13
API Reference: AuthV4.getAgeGateU13
API Reference: AuthV4.INSTANCE.getAgeGateU13
API Reference: AuthV4Interface.getAgeGateU13
API Reference: HIVEAuthV4 getAgeGateU13
GDPR 대응¶
앱 개발사는 사업장이 유럽 내에 존재하거나 유럽 밖에 있더라도 유럽 내 정보 주체에게 재화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에 대응해야 합니다. GDPR에 대응하려면 Hive 콘솔에서 GDPR 약관을 노출하도록 설정한 후, 앱 사용자가 약관에 동의한 후 시점에서 아래 Configuration.getAgeGateU16Agree()
메서드를 호출해야 합니다.
Note
GDPR 대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반드시 GDPR 공식 사이트를 확인하세요.
GDPR 약관 동의 여부 조회¶
Hive SDK는 GDPR 영향을 받는 국가에서 16세 미만 사용자가 GDPR 약관에 동의했는지 여부를 반환받을 수 있는 Configuration.getAgeGateU16Agree()
메서드를 제공합니다. 이 메서드는 반드시 16세 미만 앱 사용자가 약관 팝업에서 동의 여부를 선택한 후에 호출해야 합니다. 이 값이 true
이면 16세 미만 사용자가 약관을 동의한 상태이며, false
이면 그 반대입니다. 서드 파티 라이브러리 사용 시 사용자 나이가 16세 미만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앱 기능을 제한하려는 경우 Configuration.getAgeGateU16Agree()
메서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메서드를 사용해 어린이 대상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광고를 제공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법정대리인 동의 여부 확인¶
앱이 법정대리인 동의 약관을 사용하는 경우, 앱 사용자가 법정대리인 동의를 받았는지 여부를 Configuration.getLegalGuardianConsentAgree()
메서드를 반환받을 수 있습니다. 값이 true
이면 동의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