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draw log
 카테고리
     | 상용 서버 | withdraw_log | 
    | 개발 서버 | test_withdraw_log | 
  
 로그 스펙
  Note
   스네이크 케이스(예: server_id) 형태의 필드는 최종 저장소(BigQuery)에 저장될 때 카멜 케이스(예: serverId) 형태로 변환되며, serverid 같은 스펙에 명시되지 않은 형태로 전송된 로그는 해당 컬럼에 저장되지 않습니다.
    | 필드명 | 설명 | 타입 | 필수여부 | 
    | date | 로그 발생 시각, 형식: 년-월-일 시:분:초, 예) 2012-01-19 16:24:00 | string | Y | 
  | timezone | 로그에 입력하는 시간 파라미터 값의 UTC offset 값, 공백 없이 입력 예) "UTC+10:30" | string | Y | 
  | app_id | HIVE에서 사용하는 AppID 예)'com.com2us.derbyday.kakao.freefull.google.global.android.common' | string(200) | Y | 
  | channel | 로그인 채널 C2S: Hive KAK: 카카오 LIN: 라인 WEI: 웨이보 STE: 스팀 | string(3) | Y | 
  | user_id | channel 필드로 설정된 채널에서 사용하는 유저 식별자 C2S: HIVE uid KAK: 앱 센터에서 발급하는 유저 식별자 LIN: 앱 센터에서 발급하는 유저 식별자 WEI: 웨이보 | bigint | Y | 
  | level | 게임 내 유저나 캐릭터 레벨 (캐릭터가 다수면 최고 레벨) | int | Y | 
  | client_ip | 클라이언트의 IP, 이 값으로 GeoIP를 이용하여 country값 추출 | string(32) | Y | 
  | server_ip | 서버의 IP | string(32) | Y | 
  | company | 로그의 대상이 되는 게임 제작 회사: 예) "C2S": 컴투스, "GVI": 컴투스홀딩스 | string(3) | Y | 
  | server_id | 서버 구분 코드 서버코드표 참조하여 '서버 코드(JSON 입력 코드)'를 입력 | string | Y | 
  
 로그 예제
 {
    "date": "2012-12-19 16:51:35",
    "app_id": "com.com2us.derbyday.kakao.freefull.google.global.android.common",
    "channel": "KAK",
    "user_id": "88238917775699169",
    "level": "13",
    "client_ip": "223.33.176.189",
    "server_ip": "112.175.60.125"
}
활용 예시
  - 게임별 일별 탈퇴현황, 세부적으로는 어느 level에서 발생하는지도 확인 가능